카테고리 없음

화산섬 제주도의 지질과 주요 암석의 특징

너름새널음새 2025. 2. 16. 23:44

화산섬

 

제주도는 한반도에서 가장 대표적인 화산섬으로, 약 180만 년 전부터 화산 활동을 통해 형성되었습니다. 제주도의 지질은 주로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특한 암석과 지형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주도의 지질 형성 과정과 주요 암석의 특징,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된 독특한 지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제주도의 지질 형성과 화산 활동

(1) 제주도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 약 180만 년 전부터 2만 5천 년 전까지 여러 차례 화산 폭발이 일어나면서 제주도가 형성됨
✔ 한라산이 중심이 되어 용암이 여러 차례 분출되며 현재의 지형이 만들어짐

(2) 주요 화산 활동

  1. 기저(基底) 화산 활동 (약 180만 년 전) → 제주도 아래에 형성된 해저 화산
  2. 주요 화산 활동 (약 100만~30만 년 전) → 한라산과 오름(기생화산) 형성
  3. 최종 화산 활동 (약 2만 5천 년 전) → 백록담 분화구 형성

📌 제주도는 화산 활동이 멈춘 "휴화산" 지역이지만, 지질학적으로 볼 때 완전히 사라진 화산이 아닙니다.


2. 제주도를 이루는 주요 암석과 특징

제주도는 화산암(화성암) 중심의 지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현무암과 조면암이 가장 많이 분포합니다.

(1) 현무암(Basalt) – 제주도의 대표 암석

특징: 검은색~짙은 회색, 다공질(구멍이 많음)
형성 과정: 화산 분출 시 용암이 빠르게 식으면서 형성됨
분포 지역: 제주 전역 (특히 해안 지역)

🔹 현무암이 많은 이유?

  • 용암이 빠르게 식으면서 가스가 빠져나간 자리(공기구멍)가 남아 다공질 구조 형성
  • 이 공극(구멍) 덕분에 제주도 지하에는 **물이 잘 스며드는 특징(용암대수층)**이 있음

🔹 활용:

  • 건축 자재 (제주 전통 돌담)
  • 농경지 돌 제거 후 밭담(제주 돌담) 형성

(2) 조면암(Tracyte) – 한라산의 주요 암석

특징: 회색~연한 갈색, 화강암과 비슷한 조직
형성 과정: 마그마가 지하에서 서서히 냉각되면서 형성됨
분포 지역: 한라산 정상부 및 일부 해안 지역

🔹 조면암이 많은 지역:

  • 한라산 백록담 주변
  • 성산 일출봉과 같은 일부 해안 지역

🔹 활용:

  • 과거 제주도에서 건축 자재로 사용됨

(3) 응회암(Tuff) – 오름(기생화산)의 주요 암석

특징: 연한 황색~회색, 부드러운 조직
형성 과정: 화산재가 쌓이고 굳어지면서 형성됨
분포 지역: 제주도의 여러 오름 지역

🔹 응회암이 많은 지역:

  • 성산 일출봉 (해저 화산 분출로 형성)
  • 다랑쉬오름, 새별오름 등 제주도의 오름 지역

🔹 활용:

  • 제주 전통 가옥(돌하르방, 벽돌) 제작

(4) 스코리아(Scoria) – 붉은 화산암

특징: 붉은색~갈색, 다공질 구조
형성 과정: 화산 분출 시 거품이 많이 포함된 용암이 빠르게 식으면서 형성됨
분포 지역: 한라산과 일부 해안 지역

🔹 스코리아가 많은 지역:

  • 산방산, 송악산, 우도
  • 해안 절벽 지역

🔹 활용:

  • 도로 포장, 정원 장식용 자갈

3. 제주도의 독특한 지질과 지형

제주도의 독특한 화산 지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1) 오름(기생 화산) – 제주도에만 있는 작은 화산체

✔ 제주도에는 360개 이상의 오름(기생 화산)이 존재
✔ 다랑쉬오름, 새별오름, 거문오름 등이 대표적

(2) 용암 동굴 – 한반도 최대 규모의 화산 동굴

✔ 대표적인 동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 현무암 용암이 흘러가면서 내부가 굳어 형성됨

(3) 주상절리 – 용암이 식으면서 생긴 오각형 기둥 구조

✔ 대표적인 지역: 중문 대포 주상절리대
✔ 용암이 천천히 식으면서 오각형 또는 육각형 기둥 형태로 갈라짐

(4) 성산 일출봉 – 해저 화산 폭발로 형성된 응회환

✔ 약 10만 년 전 해저에서 분출된 화산재가 쌓여 형성됨
✔ 제주도에서 가장 유명한 화산지형 중 하나


4. 제주도의 지질학적 가치와 보존 노력

제주도는 2010년 UNESCO 세계지질공원(GeoPark)으로 지정
✔ 만장굴, 성산 일출봉, 한라산 등은 세계적인 지질학적 가치가 있음
✔ 화산 지형 보호를 위해 탐방로 관리 및 개발 제한 정책 시행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제주도의 암석은 왜 구멍이 많나요?

✔ 제주도의 대표 암석인 현무암과 스코리아는 용암이 빠르게 식으면서 내부의 기포가 빠져나가 구멍이 생긴 것입니다.

Q2. 제주도의 지하수는 왜 깨끗한가요?

✔ 제주도의 용암 대수층(다공질 현무암)이 빗물을 빠르게 흡수하고 여과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Q3. 제주도의 가장 오래된 화산암은 어디서 발견되나요?

✔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화산암은 서귀포층에서 발견되며, 약 180만 년 전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것입니다.


6. 결론 – 제주도의 지질은 대한민국의 자연사 박물관!

제주도는 약 180만 년 전부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섬
현무암, 조면암, 응회암 등 다양한 화산암이 분포
360개 이상의 오름, 용암 동굴, 주상절리 등 독특한 지형 형성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보호받는 중요한 자연 유산

🌋 "제주도의 땅을 밟을 때마다, 우리는 수백만 년의 화산 역사를 걷고 있는 것입니다!"
🔎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